SteadyDrills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란? 본문

웹개발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란?

Drills 2024. 12. 10. 19:22

241210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란?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은 Windows 10 및 Windows 11에서 리눅스 환경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호환성 계층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하고, 리눅스 커맨드 라인 도구와 응용 프로그램을 Windows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WSL이 만들어진 이유

개발자들이 배포환경에서 개발 및 테스트를 하기에 Window는 부족한 점과 에러가 많았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윈도우 유저들은 가상머신(VM), 듀얼 부팅 등을 사용했고, 조금이나마 개선되었지만 Linux배포판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무겁고 효율적이지 않아서 나오게 되었다. 

 

 

사용 이유

크로스 플랫폼 호환성: WSL을 통해 Windows와 리눅스 환경 간의 원활한 전환이 가능하여, 양쪽 플랫폼에서 개발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리눅스 도구 활용: 많은 개발 도구와 프레임워크가 리눅스에서 더 잘 지원되므로, 이를 위해 WSL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Python, Ruby, Node.js 등 다양한 언어의 개발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편리한 설치 및 설정: WSL은 Microsoft Store를 통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복잡한 가상화 설정 없이도 리눅스 환경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 접근: Windows와 리눅스 파일 시스템 간에 쉽게 파일을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어, 작업의 유연성이 높다.

성능: WSL 2는 실제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여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발 환경 통합: Visual Studio Code와 같은 IDE와 통합하여, 리눅스 환경에서의 개발이 더욱 편리하다.

자동화 및 스크립트 작성: 리눅스의 강력한 커맨드 라인 도구를 활용하여, 자동화 작업 및 스크립트 작성을 쉽게 할 수 있다.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파일 구성  (0) 2024.12.16
Docker 기초 명령어 정리  (0) 2024.12.13
도커 초기 설정  (0) 2024.12.05
세션스토어로 사용하는 Redis의 장단점  (0) 2024.12.04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토큰이란?  (0) 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