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nginx
- 도커
- redis
- 개발공부
- docker
- 파이썬
- django
- 오블완
- viewsets
- Python
- 장고
- 쿠키(cookie)
- Doker
- JWT
- 연습
- git
- web
- NoSQL
- CS
- Wil
- SQL
- 코딩테스트
- github
- Til
- 세션(Session)
- 티스토리챌린지
- 자료구조
- ERD
- flask
- 아티클 스터디
Archives
- Today
- Total
SteadyDrills
[TIL] PYTHON 이론공부 - Class함수 본문
20240703
CLASS 함수)
1. 클래스의 구성
class Clothes():
def __init__(self, name):
print(f"옷의 이름은 {name} 입니다")
self.name = name
jeans = Clothes("jeans") # 옷의 이름은 jeans 입니다
- 클래스 : 클래스는 인스턴스(객체)의 설계도입니다. 객체의 속성(어트리뷰트)과 행위(메서드)를 정의하는 틀 위의 코드 중 "Clothes".
- 인스턴스 (객체): 클래스의 정의를 기반으로 실제로 생성된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함. 위의 코드 중 "jeans".
- 메소드 : 클래스 함수라고도 합니다. 클래스 내에서 지정된 함수 위의 코드 중 "__init__".
- 어트리뷰트 : 클래스 변수(속성) 위의 코드 중 "name".
2. 클래스의 상속
클래스를 생성할 때, 부모 또는 슈퍼 클래스에 선언된 변수, 메서드 등을 가져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
class Clothes():
def __init__(self, name):
print(f"옷의 이름은 {name} 입니다")
self.name = name
class MaleClothes(Clothes):
def __init__(self, name, type):
super().__init__(name)
self.type = type
위 코드 와 같이 부모(parents) 혹은 슈퍼(super) 클래스에서 어트리뷰트나 메서드를 상속받을 수 있다.
이때 상속 받는 클래스는 자식(child) 혹은 서브(sub) 클래스이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팀 프로젝트 - 파이썬으로 커뮤니티 기능 만들기 (0) | 2024.07.07 |
---|---|
[TIL] PYTHON 모듈-tabulate (0) | 2024.07.04 |
[TIL] 과제1 UP_DOWN 게임 만들기 (0) | 2024.07.02 |
[TIL] 파이썬 값의 데이터 유형 (0) | 2024.07.01 |
파이썬(Python) 이론 공부 - 코드 컨벤션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