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dyDrills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란? 본문

웹개발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란?

Drills 2025. 1. 13. 23:51

250113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

로컬 스토리지는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저장 공간으로, 웹 사이트가 사용자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쿠키와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용량이 더 크고(약 5MB),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특징

  • 키-값 쌍으로 데이터 저장 -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키(key)와 값(value) 쌍으로 저장한다.
  • 데이터 유효 기간 없음 -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삭제하거나 브라우저 데이터를 지우지 않는 한, 저장된 데이터는 브라우저를 종료하거나 컴퓨터를 재부팅해도 유지된다.
  • 브라우저별 데이터 저장 -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는 동일한 기기라도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접근할 수 없다.
  • 도메인 단위로 격리  - 같은 브라우저 내에서도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는 서로의 로컬 스토리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
  • 저장 용량 제한 -보통 브라우저마다 약 5~10MB 정도의 용량 제한이 있다.

 

로컬 스토리지의 활용 

  • 사용자 설정 유지 (다크 모드 설정, 언어 설정 등) 
  •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상태 저장 (장바구니 데이터)
  • 폼 데이터 임시 저장
  • 캐싱 (짧은 시간 동안 API 응답 데이터를 저장)

주의점

  • 보안 문제
    로컬 스토리지는 암호화되지 않으므로 민감한 정보가 저장되어서는 안 된다.
  • 동기적 동작
    로컬 스토리지는 동기적으로 작동하므로 대량의 데이터 저장이나 검색은 앱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오버헤드 발생 가능
  • 저장 용량 제한
    큰 데이터나 복잡한 구조를 저장하려면 IndexedDB와 같은 대안을 고려해야 한다.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agger란?  (0) 2025.01.21
Django의 APIView, ViewSets, Generic View  (0) 2025.01.16
장고(Django)의 Routers  (0) 2025.01.10
장고(Django) ViewSets  (3) 2025.01.06
웹의 세션, 쿠키, 캐시  (0) 2025.01.04